Posted In ,

Saṅkappa(상깝빠, 思惟)

― 정의 ―

Saṅkappa는 보통 ‘생각’이나 ‘사유(思惟)’로 번역된다. 하지만 단순히 머릿속을 스쳐 가는 생각과는 다르다. 이것은 마음을 특정 대상으로 향하게 하고, 그 방향으로 이끄는 ‘의도를 담은 생각’ 이자 ‘결심(resolve)’에 가깝다.

마치 자동차의 핸들을 돌려 원하는 방향으로 차를 모는 것처럼, saṅkappa는 우리의 마음을 특정 목표로 이끄는 정신적 작용이다. 그래서 이것은 팔정도에서 ‘지혜’의 영역에 속하며, 바른 견해와 함께 해탈의 길을 여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용례 ―

saṅkappa의 가장 중요한 용례는 팔정도의 두 번째 항목인 ‘바른 사유(sammā-saṅkappa)이다. 이것은 세 가지 선한 결심으로 구성되며, 그 반대인 ‘그릇된 사유(micchā-saṅkappa) 역시 세 가지 불선한 결심으로 구성된다.

  • 바른 사유 (sammā-saṅkappa):
    • 출리의 사유(nekkhamma-saṅkappa),
    • 악의 없음의 사유(abyāpāda-saṅkappa),
    • 해코지 없음의 사유(avihiṃsā-saṅkappa)
  • 그릇된 사유 (micchā-saṅkappa):
    • 감각적 욕망의 사유(kāma-saṅkappa),
    • 악의의 사유(vyāpāda-saṅkappa),
    • 해코지의 사유(vihiṃsā-saṅkappa)

― 다른 개념과의 비교 ―


1. Cetanā (쩨따나, 意圖)와의 비교

Cetanā는 ‘의도’ 또는 ‘의지’ 그 자체를 의미한다. 부처님께서는 “의도(cetanā)가 곧 업(kamma)이다”라고 말씀하셨을 만큼, cetanā는 모든 행위를 일으키는 가장 근본적인 정신적 동력이다.

  • Cetanā가 ‘엔진’이라면, Saṅkappa는 ‘운전’이다. Cetanā가 행위를 하려는 근본적인 의지, 즉 ‘엔진의 시동을 거는 것’이라면, saṅkappa는 그 힘을 바탕으로 ‘출리로 향할지, 감각적 욕망으로 향할지’ 구체적인 방향을 정하고 마음을 적용하는 ‘운전 행위’에 해당한다. 즉, saṅkappacetanā의 구체적인 발현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 Yoniso Manasikāra (요니소 마나시까라, 智慧로운 注意)와의 비교

Yoniso Manasikāra는 ‘지혜로운 주의’, ‘근원에 대한 주의’ 등으로 번역된다. 이것은 현상을 원인과 결과의 법칙에 따라 지혜롭게 살피는 마음의 작용이다.

  • Yoniso Manasikāra가 ‘지도를 읽는 것’이라면, Saṅkappa는 ‘길을 선택하는 것’이다. Yoniso manasikāra를 통해 ‘이 생각(예: 악의)은 괴로움으로 가는 길이구나’라고 지혜롭게 알아차리고 분석하는 것이 먼저다. 이렇게 지도를 정확히 읽고 난 뒤, ‘나는 저 길로 가지 않겠다. 악의 없는 길로 가겠다’고 결심하고 마음을 돌리는 것이 바로 sammā-saṅkappa(바른 사유)이다.

3. Sati (사띠, 마음챙김)와의 비교

Sati는 ‘마음챙김’ 또는 ‘알아차림’으로 번역된다. 이것은 현재 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잊지 않고’ 있는 그대로 아는, 일종의 ‘정신적 문지기’ 역할이다.

  • Sati가 ‘문지기’라면, Saṅkappa는 ‘왕의 결단’이다. 마음에 ‘성냄의 생각'(vyāpāda-saṅkappa)이 떠오를 때, 그 생각이 일어났음을 가장 먼저 알아차리는 것이 바로 sati이다. 문지기가 “침입자 발견!”이라고 보고하는 것과 같다. 그 보고를 받은 뒤, ‘이 침입자는 해롭다’고 파악하고(yoniso manasikāra), “저 침입자를 내쫓아라!”고 결단하고 의지를 내는 것이 바로 sammā-saṅkappa(바른 사유)이다. 따라서 sati는 일어남의 ‘관찰’에, saṅkappa는 그 관찰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 방향 전환’에 가깝다.

―제미나이 참고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